** 차량자가 충전요령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
작성일09-11-20 00:00
조회4,293회
댓글0건
관련링크
본문
함께하는kdc분당지사입니다
배터리 점프방법 알아두기!!
한적한 곳에서 이런 일을 당하게 되면 매우 난감하기 이를데 없습니다. 여차저차 Jump를 시켜줄 차량을 구했다고 하고... 잡지, 인터넷, 일반서적 등에서 제시하는 점프방법은 ´´+/-를 어떻게 어떻게 연결하고 시동이 걸려있는 차로 부터...´´라는 식입니다.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. 그것은 배터리를 이용한 초기 시동시 소모되는 전류량은 대단히 크다는 것이고 대략 100A를 넘어가게 됩니다. 엔진크기가 클 수록 크랭킹에 소모되는 에너지량이 많아야 하기 때문에 더 더욱 많은 전류가 필요하겠지요. 그런데 가만 생각을 해보면, 공급해 주는 차량(이하 공급자)의 발전기가 그 차량의 전장부품 에 전력을 공급해 주면서 동시에 100A이상이나 되는 여분전류를 흘릴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. 공급자측에는 일종의 전력보상 장치인 배터리가 있으므로 여분의 전력공급이 가능하기는 합니다. 아마도 실용적으로 무리가 없다는 이유로 대다수의 인터넷과 잡지 등에서는 ´´공급해 주는 차에 시동이 걸려있어도 좋다.´´ 또는 ´´시동이 걸려있어야 한다.´´라는 식으로 이야기하고 있는 듯 보입니다. 여기서 공급자의 배터리가 거의 수명이 다되어가는 상태이고 마침 밤이라서 전조등을 켰으며 여름철 에어컨을 켠 상태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공급자측 발전기는 소모전력을 감당하고 텅텅 비어있는 배터리에 전력을 채워넣느라고 애를 쓰고 있는 상황일 것입니다. 이런 조건에서 갑자기 100A 이상의 전류가 흘러나가 버린다면 급기야 배터리+발전기의 저장분을 소진함과 동시에 전력소모에 즉응적으로 반응하게 되어있는 일반발전기에 순간적인 과부하가 걸릴 수 있습니다. 그러다가는 점핑 한 번 해 주고 발전기가 반쯤 고장난 것을 모르고 배터리의 힘만으로 한 시간쯤 더 주행을 한 후에 완전방전이 되면 자신이 또 남에게 점핑할 기회를 구걸하는 입장이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. ´´´´남 퍼주다가 내가 망하는 꼴´´´´이 되겠지요. 물론 이런 이야기는 단순히 ´´´´가능성의 문제´´´´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. 발전기코일은 물론 레귤레이터는 충분한 내수, 내진대책 등이 마련되어 있고 또 회로에서 다룰 수 있는 전류는 정격치보다 높습니다. ´´그럼에도 불구하고´´라는 단서를 다는 것이지요. 어쨋거나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최선의 방법은 공급자측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 공급자측의 배터리의 힘만으로 점핑을 시켜주는 것입니다. 그리고 여전히 새시는 접지와 같다는 점 때문에 ⓐ (-)케이블은 맨 마지막에 접속하고 ⓑ 점핑을 완료한 후 제일 먼저 떼어내야 합니다. 실수로 인한 스파크, 순간방전을 방지하기 위함이지요. 그리고 +/-를 바꾸어 접속하지 않도록 늘 조심! 조심! 실수한 경우 전자부품 한 두개 망가지지않으면 정말로 재수가 좋은 날이라고 생각해야 할 듯 합니다. -선을 연결한다. 클립이 잘 물려 있는 지를 확인하고 시동을 겁니다. 늘 .... 안전운전 ^^ 함게하는kdc분당지사 입니다. ![]() http://www.kdcbundang.co.kr 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